About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작업을 해내는 토대를 바꿔야 하는 지점을 고민한다. 내 작업에 있어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한 재료를 써야 하는가에 대한 괴리감 같은 것들 말이다. 나는 재료 자체가 작품의 주제를 반영해야 한다고 확신한다. 자연적 물성의 우수함은 나의 통재 아래 변형한다. 나는 붙이고 깎아내며 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얻는 것에 의의를 둔다. 시각적 언어로 이루어진 감정의 전이와 입김으로 생태적 “공존”은 당신과 내가 정서의 벽을 넘어 같은 체험을 한다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것은 정서와 내 태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나는 작업을 통해 상처를 회복하는 과정을 담아내고 싶다. 자연적 시간과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자연을 이해하고 사귀어가는 방법을 터득하는 의미 있는 체험이라 믿기 때문이다. 일상에서 놓치고 있는 귀중한 것들과 길을 잃은 삶 속에서 하루의 가치와 기억을 일깨우는 탓에 우리는 희망적인 성향을 지켜내기 위해 예술을 만나야 한다. 일상에서 겪게 되는 슬픔 들을 이겨나가고 그 속에서 또 진지하게 인생의 고난을 극복하고 승화시키며 나아 갈수 있는 힘에는 예술의 참된 의도가 있다. 잃어버린 생태적 감각과 성향을 농축된 형태로 내놓아, 우리의 기울어진 자아의 적당한 균형을 회복하는 것! 과도한 불안과 자극으로 고통받는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성 중 잃어버린 부분을 다시 되돌리려 하는 행위는 생태적 예술이 우리 모두에게 전하는 회복의 한 문장임을 알아야 한다. 자연적 요소와 생명이 어울려 살아가는 이상향의 풍경, 동심을 잊지 않고 본성을 바꾸지 않으며 이로써 본래의 모습으로 삶을 살아간다는 것, 우리 모두와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적 환경과 내가 매료된 자연 세계의 원초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자연의 순리적 영역을 통해 삶을 배워 간다.
It does not stop at delivering the message, but considers the point where the foundation for the work must be changed. You know, the disjunction about whether I should use fossil fuel-based materials in my work. I am sure that the material itself should reflect the theme of the work. The superiority of natural properties transforms under my conventional wisdom. I value getting new value in the process of attaching, peeling and painting. With the transfer and breath of emotions in visual language, ecological "coexistence" does not forget that you and I experience the same beyond the walls of emotions. This greatly affects the change in emotions and my attitude. I want to capture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wound through work. We have to meet art to protect our hopeful tendencies because of the precious things we miss in our daily lives and the awakening of the value and memories of our day in our lost lives. The true intention of art is in the power to overcome the sorrows of everyday life and to seriously overcome, sublimate, and move forward.
Bringing out the lost ecological senses and tendencies in concentrated form, restoring the right balance of our tilted selves! It should be known that the act of trying to get out of a lifestyle suffering from excessive anxiety and stimulation and return the lost part of one's personality is a sentence of recovery that ecological art conveys to all of us. The scenery of the utopia where natural elements and life live together, the concentricity of life, not forgetting it, not changing its nature, thereby living in its original form, conveying the original message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where all of us and nature coexist, and the natural world in which I am fascinated, and learning life through the natural realm of nature.
Kim Hyunsung b.1982
Profile
학력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소목 전문과정 수료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전승교육사 조화신 소목장 사사
경력
2024 개인전 “물성의 일기” artspace IAA
2021 개인전 “미궁” studio 126
2020 개인전 “순리와 역리” 창작지원센터 Gasirl
2019 개인전 “결” 제주문예회관